본문 바로가기
경제

현재 한국경제를 반영하는 원화환율, 과연 1470원이 적정한가???

by come together 2025. 3. 25.
반응형

 

반응형

1. 현재의 원화환율의 방향성


달러대 원화환율이 현재 이상한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 원화환율이 오른다는 것은 달러대비 원화가 약세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의미한다. 원화약세는 한국경제가 흔들리거나 침체상태, 수출등이 어려워 달러공급이 수요보다 부족할때 나타나는 현상이다.

물론 현재 한국경제가 상당히 침체이고 한국경제를 지탱하는 대기업들이 이전보다 수출이 어려워지고 있다는 점에서 어느정도 원화약세가 예상된다. 가본적으로 환율은 상대국통화대비 자국의 통화가치라는 상대성이 지배한다.

이를 전제로 판단한다면 달러대비 원화가치는 원화자체만의 절대적 가치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달러대비가치를 의미한다. 따라서 세계기축통화인 달러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가 103~4로 이전에 보여준 108보다 상당히 약세라면 원화는 상대적으로 강세인 것이 경제논리에 타당하다.

원화가 강세라면 원화환율은 지금보다 하락하여야 한다. 원화환율은 현재보다 1430원이하로 하락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원화환율 1,500원으로 갈것인가?

1. Powell쇼크원화환율이 1,400원을 돌파한 이후 1,430원에서 달러사자와 팔자세력들간 치열한 공방이 이루어지고 있다. 마치 하나의 고지를 두고 서로간 소모전을 벌이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이

choihama2.tistory.com

 

2. 원화환율급락가능성???

그러나 현재 역으로 원화환율이 상승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이로한 경제논리에 역행하는 원화환율방향성은 정상적인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의미한다. 단지 시기가 문제일 뿐이다.

이를 나타내는 사례로 하루전 미재무부장관이 달러대비 원화환율이 지나치게 높다고 하며 일정시점에 원화환율이 급락할 수도 있다고 한것은 의미심장하다.

어느정도 자유경쟁채제가 지배하는 외환시장에서 특정국가가 개입하여 환율을 어느정도 미세하게 조정할수 있어도 전반적인 조작은 불가능하다. 이를 고려한다면 현재의 원화환율은 경제상황에 맞지않으며 원화환율이 급락할 가능성은 다분히 존재한다.

반응형